-
[Modafe 2010] Spark Place 1 <달팽이 뿔> 덧없는 현실의 층위REVIEW/Dance 2010. 6. 22. 01:29
▲ 곽영은, <바삐걷다>
곽영은 안무의 춤은 강한 인상과 함께 움직임의 펼침을 시간차 리듬의 구현을 통해 만들고, 어둠 속에서 그 펼침은 흐릿한 자취로 세계로 무화되며 그 펼침 뒤에 적절한 멈춤을 그만큼 둠으로써 시선을 붙들어 놓는다.두 손을 느슨하게 쥐고 머리에 붙여 동물의 움직임을 따라 하는 것 같은 무용수들의 움직임은 인간 사회에 대한 직접적인 알레고리 차원을 이룬다.
한편으로 빛이 나는 정육면체 오브제를 뺏고 뺏기는 움직임들의 연결 과정은 상호관계의 역동적인 주고받음의 생성적 과정을 실현한다.
빛은 동경의 자리이자 가상적 세계의 환영이며 다시 집착과 욕망의 덧없는 행동들은 이에 대한 거리와 환영적 자취를 통해 연쇄 고리를 이어 나가게끔 만든다.
오브제가 놓인 공간의 자리가 유동적인 흐름 자체를 보이며 그러한 과정 자체가 불편한 것으로, 또 의식의 무화된 지점에서 또 하나의 오브제 차원의 존재들이 성립함을 보여준다.
첫 등장에서 어두운 배경의 조명이 켜진 칸막이를 구분으로 두 사람이 그림자놀이를 하며 동물들의 움직임을 교차시키고, 현실 층위에서 여기에 덧입혀지는 프레임을 다층적으로 짜는 장면은 마지막에 그 칸막이가 걷힌 상태에서 빛이 자리하는 동시에 빈 공간으로 자리하는 그 이상향으로 추구되는 하나의 공간이 들어갈 수 있다거나 아무 것도 자리하지 않는 공간으로 인지되지 않고, 다만 그 어리석음의 무화된 감각이 정적으로 감싸인다.
초반부 두 사람의 그림자놀이에 현실 층위에서 땅을 기며 등장한 남자의 모습이 이 현실 차원의 세계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고 있고, 시종일관 경쟁 구도로 진행되는 세 사람의 몸짓이 현대 사회의 관계의 갈등,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허황된 목표나 꿈에 대한 가림막이 된 시선의 층위를 덧없이 쫓아나가고 있는 것이다.
사진 제공ⓒ모다페
관람 일시 및 장소 : 6.5(토) 6PM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김민관 기자 mikwa@naver.com
728x90반응형'REVIEW > D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dafe 2010] Spark Place 1 <소년의 거짓말> 이야기적 장치를 통한 현실의 육화 (0) 2010.06.22 [Modafe 2010] Spark Place 1 <기발한 인연> 의자를 통한 신경증적 일상의 징후들 (2) 2010.06.22 [Modafe 2010] <The Blind> 심청의 포스트모던한 세계 (0) 2010.06.22 [Modafe 2010] <Chronology>, 시간의 흔적을 더듬어 가는 안무 (0) 2010.06.22 [Modafe 2010] <The 1st>, 현대인의 내밀한 실존적 층위의 서술적 양식 (0) 2010.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