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다페 2013] 니콜라스 아페인, <Monkey see Monkey do>: '관객의 감각이 체현되는 신체'REVIEW/Dance 2013. 5. 28. 08:54
▲ 니콜라스 아페인(Nicholas Aphane) [사진 제공=모다페]
관객들을 바라보며 두 발을 붙인 채 몸을 순간 재편하고 이러한 움직임은 일종의 관객에게 수신호를 제시하는 표현의 형식과 몸 저네를 재편하며 얼굴로까지 그 몸짓을 확장시키는 순수한 표현의 형식 자체로 변해 나가는 두 가지 층위를 분절‧접합시킨다.
전자에서 얼굴이 그 자체의 문화적 지표로서 기능한다면, 후자의 얼굴은 그 자체로 신체 일부로 무화된다.
이 얼굴의 사용은 관객을 향한 인터액티브적 영감의 풍부한 연결고리를 만들어 주는데, 여기에 깔리는 내레이션은 “평화” 어쩌고 하는, 중첩된 그래서 옹알거림으로 나타나는 덧 층위로 제한된 수용의 범위를 이룬다.
▲ 니콜라스 아페인(Nicholas Aphane) [사진 제공=모다페]
어쨌거나 그의 몸은 상징적인 사회의 코드가 체현되는 영토가 되는데, 앞선 관객으로의 수신호가 직접적인 시선의 마주침으로 얻어졌다면, 이제 그의 얼굴은 신체로부터 번져 나와 신체 전체를 가리키는 노동의 의미 이전에 순수한 표현의 구문이 된다.
단속적으로 튀어나와 활기를 띠는 사운드 스케이프에서 이 ‘전체의 몸’의 단위로서 움직임들을 작동시키며 세세하게 몸의 마디들을 분절한다. 이는 의미 지형을 이 음악이라는 외부에 자신을 방기시켜 새로운 몸의 움직임으로 거듭났기에 신명나는 리듬을 가진 채 그 춤을 지속할 수 있게 된다.
이 아방가르드 재즈 임프로비제이션 타입의 음악은 앞선 의미를 가진 채 어린아이의 말과 이중 텍스트로 쓰인다. 어쩌면 이 이중 텍스트 아래 말이라는 상징적 기호에 유연한 음악의 흐름에 분배되는 스텝과 유연한 몸의 리듬 어린 분배는 괴로움들과 감정을 담은 표정과 움직임의 음악적 전개 그 자체가 분절‧접합 그리고 육화되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
김민관 기자 mikwa@naver.com
728x90반응형'REVIEW > D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다페 2013] 빠뜨리스 티보, <Fair Play>: '상징과 상상의 간극을 확장하며' (0) 2013.05.28 [모다페 2013] 정현진 안무, <뒤바뀐 새벽>: '관계의 시차적 생산' (0) 2013.05.28 [모다페 2013] 숨 무브먼트 국은미, <Walking>: '걸음'의 산포와 변용 (0) 2013.05.28 [모다페 2013] 안지형, <나무=존재의 무거움>: '무덤덤하게 현실의 시련과 만나기' (0) 2013.05.28 [모다페 2013] <Spark place #2> 리뷰(안무 신아람·차형도·주선희·정수동) (0) 2013.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