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다페 2013] 지구댄스시어터 정석순, <Blue>: '너무 많은 의미들의 열림'REVIEW/Dance 2013. 5. 28. 04:49
▲ 지구댄스시어터 [사진 제공=모다페] (이하 상동)
마치 어둠에서 급작스레 치솟아 부재를 포화 상태로, 혼돈의 뒤섞임들로 채워 넣음은 이 부재의 환영을 현실로 확장하게 한다.
여러 문장들로 분쇄되어 제시하는 순간에서 두려움으로 옮아가는데, 그러한 정서의 변환은 문장들이 '그리고'라는 덧붙이기의 형식을 통해 이어지는 것처럼, 결국 '비논리의 논리' 형식을 띨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말하다’에서 ‘불안하다’로 치환되는 두 단어의 절합은 말하다가 불안해서 이미 불안함은 말을 부른다는 연쇄 논리를 상정한다.
이 불안은 삶의 사회적 질서가 가로 놓이는 것을 따라 삶과 연계된다. 이들은 아케이드 게임의 음악에 맞춰 부산스럽고 단출한 움직임들을 선보이며, 군무를 춘다. 중간 중간 말들이 현대인을 표상함은, 다시 빨리 관객은 그 폭력의 그림자로 옭아맴은 폭력적이라기보다 다소 작위적이고, 여러모로 상투적인 데가 있다.
막이 닫히고 카메라를 들어 관객을 비추고 관객을 존재의, 그리고 이들과 같은 무대 위의 환영적 존재로 비추고 무대 바닥을 찾아다니며 실제적 표식으로서 동전을 발견한다. 이러한 무대와 무대 바깥의 경계 너머 일상적인 존재들의 모노톤 화면의 공명은 일상의 생명을, 가치의 기준들을 천천히 느릿느릿하게 육화시키는 듯 보인다.
그리고 이들은 무대 낯선 흐릿한 흑백 초점 없는 이 질서 없음, 떠도는 부랑자 같은 존재들의 생기 없는 신체를 적외선 카메라 영상의 비가시적 도래 아래 구축함에 이어 장막이 걷혔을 때 이들은 무질서하게 분산되며 흩어진다.
그리고 일종의 희생양을 한 명 만드는데 벌거벗긴 남자의 가슴에 초록 테이프를 둘러 포박의 의미를 아로 새긴다. 그 아래 뱉는 책임감 따위의 온갖 단어들은 집단적 유대의 형식을 빌어.
이러한 여러 주제로 형상화 가능한 각기 다른 시퀀스들의 절합은 다초점 의미망을 형성하는데, 규정할 수 없음의 형식으로 나아간다. 협업의 나이브한 과정과 음악과 꼭두각시 기계의 절합 구도의 의뭉스러운 전개에서 관객 너머의 의미들, 다시 폭력의 문제까지 너무 많은 것들이 열려 있고 따라서 그 의미는 어느 정도 닫혀 있다.
김민관 기자 mikwa@naver.com
728x90반응형'REVIEW > D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다페 2013] 안지형, <나무=존재의 무거움>: '무덤덤하게 현실의 시련과 만나기' (0) 2013.05.28 [모다페 2013] <Spark place #2> 리뷰(안무 신아람·차형도·주선희·정수동) (0) 2013.05.28 [모다페 2013] 김경영 안무, <THE STIMULATING MOMENTS>: 판소리와 '의미 없는 것들'의 절합 (0) 2013.05.28 [모다페 2013] 최문석 안무, <Inst.Act>: '비-존재 되기의 불완전한 양상들' (0) 2013.05.28 [모다페 2013] 안신희‧이윤경‧차진엽, <Three Lips>: '무용수의 개성'과 '무거운 서사'의 낯선 조우 (0) 2013.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