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행준‧최준용‧타카히로 카와구치, 『무잔향』 아티스트 토크, 『고래, 시간의 잠수자』REVIEW/고래, 시간의 잠수자 2011. 8. 27. 10:25
『무잔향』이란.
▲ 「무잔향」 아티스트 토크, (사진 왼쪽부터) 통역, 타카히로 카와구치, 이행준, 최준용, 사회를 맡은 홍철기
무잔향은 잔향이 없다는 의미로, 4분 33초 간 시간적으로는 언제나 소리가 난다. 공간적으로 어디에서나 소리가 돈다. 무잔향실(완전한 방음 상태)은 밖에 소리가 안 들어가고, 안의 소리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잔향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 잔향을 다 없애는 공간인데, 높은 소리는 뇌에서 신경이 흘러가는 소리로, 낮은 소리는 혈관으로 흐르는 소리로 들린다고 한다. (홍철기)
개별 작품에 관해
그동안 했던 것과 많이 다른 처음 발표하는 작품으로, 정치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한, 필름은 물질이어서 시간을 어떻게 경험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해, 시간으로 환원하는 첫 번째 작품이고, 기본적인 요소로 색‧영화에 감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미니멀 사운드가 사용됐다. 헐겁게 하고 반복하면서 즉흥을 더하면서 다듬어 갈 수 있다. 영상은 사운드와 등가 된 가치를 가지는데 정교하게 취급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영화는 아둔한 장르라서 다른 곳에서 흡수를 해오지 스스로 뭔가를 만들지 못 하는 것 같다. 해프닝 요소를 중요시하는데, 너무 좁아 펼칠 장소도 없어 같이 생각해보자고 해서 관객들과 셔터로 소리를 내자는 아이디어로 시작해서 한 명씩 자리를 돌며 한 명에서 두 명 세 명 추가되어 좋은 퍼포먼스가 되었다. 멀리서 떨어져서 관객과 같이 보는 시각이다.(이행준)
소리라기보다는 중요한 것은 어떤 일을 만든다는 것, 소리가 될 수도 빛이 될 수도 있다. 뚜렷한 목표가 있기보다 시간이 정해져 있어 무언가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고 싶지 않아서 행위를 하고 그것에 대해 다 같이 생각하고 싶다.(타카히로 카와구치)시각적으로 드러나는 것에 반감이 있고, 모든 음악들이 다 시각화되어 있어서 다 만지고 컴퓨터 웨이브로 나오는 것 보고 편집을 많이 한다. 음악은 시각에 많이 지배되고 있다. 장소마다 할 수 있는 게 있고 없는 게 있는데, 완전히 암전 상태를 만들 수 있는 상태에서의 사운드, 바닥에 고무판이 깔려 있어 무대 조건이 달랐다. 또한 필름을 갖다 놓은 게 달랐다.
아무 것도 볼 수 없게 했을 때 어떻게 될까 해 보고 나니까 아무 것도 안 보이는 것도 시각 효과의 일부인 것 같다. 시각효과가 극대화된 퍼포먼스인 것 같다. 창문을 여는 것은 의도한 건데 완전히 어둠과 밝음 사이에 중간 단계를 해보면 어떨까 싶었다. (최준용)
이날 아티스트 토크는 세 사람의 퍼포먼스 이후 진행되었는데, 길게 진행되지 못 했다. 관객과의 대화 시간이 대부분 공연 이후 즉흥적인 형태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고, 그것을 독립적인 파트로 다루는 경우는 별로 없으며 관객에 있어서는 마치 자신의 감상을 절대적인 인식으로 놓고 질문하게 되기보다는 수용의 자세가 필요하다고 보이고 순수한 경험을 솔직하게 이야기하는 게 제일 중요할 듯하다.
작가의 의도, 표현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이었냐의 질문은 자신이 어떤 것도 느끼지 못 했음, 언어로 표현할 수 없음에 대한 반작용, 또 해석의 책임을 유예하는 행위로 비치기도 한다. 또한 작가를 예단하는 것도 좋지 않다. 반면 작가는 모르는 바에 대해서는 솔직해야 한다. 우문현답이 필요하고, 그렇지 못 할 때는 우문을 우문이라고 지적하지 말고, 우문을 현답으로 내어 놓지 못 함에 대한 우회적 겸손의 답변이 필요할 것이다. 어쨌거나 이날 아티스트 토크도 그렇게 진득하게 어떤 화두를 붙잡고 늘어지지 못 해 아쉬웠는데, 몇 가지 시사점과 질문들을 안긴다.
이행준의 말에서 퍼포먼스에서 영상을 쓰는 경우, 소리 못지 않게 그것이 이루는 조건에 대한 엄밀한 고찰이 필요하다는 것은 타당하다. 마찬가지로 소리 역시 그러하다. 단순한 배경이나 효과 차원에서의 사용은 실험의 엄밀한 조건이 되지 못 하며 때로 상투적인 차용에 가까운 경우들이 많다.
타카히로 카와구치가 그냥 창작하는 것이라는 말은 예술가로서는 사실 당연하다. 그래서 이에 관한 답변을 얻고 싶을 때는 출발선상이 무엇인지 묻는 것이 좋을 듯하다.
최준용의 음악이 시각화되어 있다는 말은 다소 이해되지 않는 바가 있었다. 시각 베이스 위주의 사운드 아트의 측면은 사운드를 청음, 경험의 측면에서 접근하기보다는 청각 이전에 시각으로 질서를 짜서 대입하는 상투적인 창작 방식들에 대한 비판으로 비친 반면 그 답변에 대한 이유가 세세하지는 않았다.김민관 기자 mikwa@naver.com
728x90반응형'REVIEW > 고래, 시간의 잠수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