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Dance 2019] 휴먼후드, <토러스>: '공간(에)의 체현'REVIEW/Dance 2020. 3. 16. 16:56
각자의 움직임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고 하나의 무리를, 대형을 그린다. '동류'의 움직임이 시공간의 지시 없이 지속된다. 어슴푸레한 공간에서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것, 가다가 한 번씩 멈추면서 속도를 느릿하게 분배하는 것, 이러한 집단적 에너지는 우주적 공간 외에 다른 메타포를 가리키지는 않는 것 같다. 이 움직임 자체가 일종의 전자음악적 공명이 그리는 무한한 시공간의 체현으로 보인다.
일군의 무리는 반복된 동작을 선보인다. 먼 곳을 그리는 사람의 반대편에서 가장자리를 그린다. 이는 겹의 무늬로부터 이루는 간결한 선분(의 유동성)으로 축약된다. 공간은 이 단순한 선분들의 궤적 아래 떨리고 공명하며 여기에 의도적으로 바람을 의태한 사운드, 땅을 두드리는 소리 등 자연의 유사 효과음이 이 공연이 가리키는 바인 공간의 체현 자체를 지시한다. 동작이 줄어들고, 사람이 한 명씩 빠진다. 4에서 1로. 형태를 달리하지만 어떤 무리를 이룬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움직임의 속도와 형태가 달라짐으로써 구조로서의 세계를 구성하는 일. 무한한 시공간의 크기를 재확인하는 과정은 숭고함보다는 황홀함의 감정을 안긴다. 유연한 생명체들의 끝없는 에너지의 발산, 거기에 이를 둘러싼 바깥의 음악에 대한 어떤 의(구)심도 일지 않는다. 그러니까 그 속에서 내재적 사운드를 소거한 가운데 이들이 개별적인 생명체나 존재로 위치 지어질 수 없다는 점에서, 추상적 움직임의 도해를 구성하며 그것이 실제적 공간과 다르다는 것으로 작품은 수렴된다. 곧 <토러스>는 공간의 리얼리즘적 재현이 아닌 공간을 구성하는 스타일 자체를 직조하며 그 세계의 완고함을 증명하려 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김민관 편집장 mikwa@naver.com
728x90반응형'REVIEW > D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보람,〈the thin ( ) line〉: 극장이라는 전략과 유동하는 극장의 형식 (0) 2021.08.25 국립현대무용단의 ‘그 후 1년’, 팬데믹 이후 어떤 예술의 양상들 (0) 2021.07.16 [SIDance 2019] 파울라 킨타나, <환희>: 변환으로서 거울 공간 (0) 2020.03.16 [SIDance 2019] 프란체스카 포스카리니, 안드레아 코스탄초 마르니티: '탈얼굴의 타자성' (0) 2020.03.16 [SIDance 2019] 아트프로젝트보라, <<무악舞樂> 보고, 듣다>: 재현의 지지체로서의 행위 (0) 2020.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