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Dance 2019] 파울라 킨타나, <환희>: 변환으로서 거울 공간REVIEW/Dance 2020. 3. 16. 16:56
어슴푸레한 공간, 밝아지는 스크린, 천장에 매달린 옷, 무엇보다 물을 채운 수조 위에 형체의 비침과 일렁거림 그리고 표층의 소리, 파울라 킨타나는 바닥에 흡착되어 움직인다. 다리를 찢은 채 몸을 땅에 붙여 이동하는데, 처음 어떤 벽이 긁히는 소리 같은 사운드는 물보라를 일으키는 몸과 기이하게 동기화된다. 어느새 더 밝아진 조명으로 인해 아래로 신체는 물에 비치게 된다. 이러한 일종의 스크린으로 기능하는 물의 반영은 신체를 깊이로 잇고 동시에 마주하게 한다. 여기에 미미한 이동이라고 볼 수 있을 동작은 거의 같고, 이는 거의 측정할 수 없는 속도의 양상을 띠므로, 관객이 확인하는 건 움직임의 순간들이라기보다 움직임의 지속이라는 사실 자체이다. 또한 순간의 변화이다.
똑같은 속도와 동작으로 정방형의 공간을 움직인다면, 움직임은 일정한 규칙을 띠고 그 규칙의 구현에 초점을 맞춘다고 할 수 있다. 곧 이와 같은 움직임을 기계의 동력 장치라고 할 수는 없을까. 물의 환경적 변화를 촉발하면서 동시에 이를 측정하는 건 몸의 일정한 움직임 때문이다. 어둠에서 밝아짐으로의 환경 변화는 시간에 따른 프로그램화된 산출 정보에 따른다. 이 역시 환경의 변수를 측정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그 변화를 시시각각 확인하기보다 달라져 있음, 감각할 수 없는 속도의 역치를 확인하게 하는 것에 가깝다. 여기에 솔기를 부여하는 건 전자음악의 사운드로, 이는 의식의 흐름을 구성한다.
신체 역시 어떤 하나의 방향으로 수렴된다. 바닥에 밀착했던 것에서부터 조금씩 위로 올라가서 어느덧 누워 있다 두 무릎으로 구부리고 앉고 서서 끝을 맺는다. 이런 일련의 움직임은 몸이 곧 바닥 자체가 되는 어포던스적 체현 행위로부터 수직 축의 대비를 이루는 천장으로부터의 옷에 수렴되는데, 이를 환경의 변화와 함께 조형적 움직임의 구성 차원에서 수평에서 수직으로의 메타포 변환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작업의 속도는 감각적으로 측정하기가 어렵다. 그렇다면 이 작업은 이를테면 움직임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물속의 형상을 사운드를, 환경의 변환 과정을, 공간 전체의 재구성 과정을 보여주는 차원에서 이 작업을 볼 수 있지 않을까.
김민관 편집장 mikwa@naver.com728x90반응형'REVIEW > D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현대무용단의 ‘그 후 1년’, 팬데믹 이후 어떤 예술의 양상들 (0) 2021.07.16 [SIDance 2019] 휴먼후드, <토러스>: '공간(에)의 체현' (0) 2020.03.16 [SIDance 2019] 프란체스카 포스카리니, 안드레아 코스탄초 마르니티: '탈얼굴의 타자성' (0) 2020.03.16 [SIDance 2019] 아트프로젝트보라, <<무악舞樂> 보고, 듣다>: 재현의 지지체로서의 행위 (0) 2020.03.16 [SIDance 2019] 로베르토 카스텔로, <우리는 밤에 방황하고 불로 소멸한다>: 강박에의 황홀 (0) 2020.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