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범구
-
[리뷰_둘째 날] 차세대 안무가 클래스 쇼케이스 '9 Works in Progress'REVIEW/Dance 2012. 1. 22. 19:09
1월 17일(화)·19일(목)·21일(토) 서울 대학로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에서 2011아르코공연예술인큐베이션 9 Works in Progress가 진행됐다. 는 지난 4월말에 시작된 공모 이후 9명의 안무가를 선정하여 각자의 창작 주제를 수개월에 걸쳐 리서치·프레젠테이션·멘토링·토론·오픈스튜디오 등을 진행해 온 결과물이다. 둘째 날에 있어서 영민한 안무 감각을 보여준 안무가로, 황수현이 눈에 띈다. 김재승 '사알푸울이 추움' 춤은 나르시시즘의 영토에, 신비함의 프레임에 종속되어 있는 듯 보인다. 좁은 공간에서 소고무를 형상화하듯 채우는 자취는 시간의 부피가 좁은 공간에 접히고 미끄러지며 자취를 남긴다. 전체적으로 빛 곧 조명은 미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쓰이고 있다. 춤의 밀도는 숨과 움직..
-
'사운드에 감응되는 신체들' : 한국공연예술센터 무용제작공연 MixedPlay 「마이크」리뷰PREVIEW/Dance 2011. 12. 26. 12:38
먼저 「마이크」를 스테레오타입화된 현대인의 일상, 그리고 공허함을 상징적인 표상으로 드러낸 것이라는 생각은 이 작품에 대한 대단한 오독일 것만 같다. 현대인을 불안정하게 존립시키는 무대의 양태와 움직임은 실존주의의 이념에 소급되는, 곧 움직임을 움직임 자체로 보지 못 하는, 또는 그러한 이념에 무용이 빚지고 있음을, 그러한 하나의 철학에 대한 종속적, 하위적 개념으로 움직임을 바라보는 것에 다름 아닐 것(이런 의미에서 필자는 마이크에 대한 대다수 글에 대한 메타 비판적 시선을 떠안고 이 글을 진행할 것임을 일러둔다). 무용수들은 개별적으로 자신의 몸으로써 기능한다. 여기에는 오히려 실존주의적 자기의식이 없는 상태이다(뇌 없는 육체와도 같은). 또한 무대는 너로 인해 존재하는 나 내지는 너로 인해 감응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