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등병
-
[리뷰] 연극 삼등병 : 현실의 바깥에 있는, 현실의 유예된 은밀한 철책 공간에서.REVIEW/Theater 2011. 7. 21. 07:13
삼등병은 표면적으로, 이등병이 하나의 계급적 진단이라는 것을 인지시켜주는 말이다. 군대라는 문제가 하나의 풍자적 시선의 소재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것, 군대는 하나의 계급 놀이라는 진단에 동의할 수 있는가? 놀이의 규칙, 연극의 규칙은 그 안에서만 성립한다. 그 안의 온갖 진지하고도 엄숙하며 깨부술 수 없는 규칙들은 군대 바깥에서는 무용담이나 추억으로 치부된다. 하지만 군대가 갖는 초자아의 명령, 아득히 먼 ‘고참’(선임)의 명령, 가까운 선임의 피부에 닿는 명령까지 그 둘의 간극이 줄어들수록 생각의 여지는 생겨나며 사회와도 조금 가까워진다. 적이 쳐들어오지 않는 철책을 지키는 두 명의 보초병에게 닿는 추운 공기는 내지는 적막한 공기는, 시간의 부피를 떠안은 가없는 공기는 관객에게는 느껴지지 않는다. 이 ..
-
'해님지고 달님안고', 마음이 짠해 오는 연극 한편REVIEW/Theater 2011. 2. 11. 03:01
연극 의 거리는 멀고(아득하고), 그 환영적인, 잡히지 않는 실재의 세계를 더듬어가는 연극이다. 서사로 바뀌기보다 덩어리로 바뀐다. 그래서 몸의 표현성이 살아나고, 현재의 시간에 갇히지 않는다. 소위 아련하게 감각들을 조여온다. 눈이 먼 아이와 같이 연극에서 눈은 하나의 중요한 기호로 작용한다. 눈은 현실을 보느냐 안 보느냐의 중요한 요소이다. 아이 역할 박성연은 연기를 정말 잘한다. 천진한 아이의 목소리 톤은 거부하기 힘든 매력을 지녔다. 최근 영화의 흥행 등으로 이 작품의 출연으로 스포트라이트가 쏟아진 오달수보다는 오히려 주인공으로서 극을 이끌어가는 건 그녀이다. 도깨비들은 순진무구한 존재들로 앙상블을 이루고, 도깨비만 내레이터 같은 미래를 담지하는 육체로 기능한다. 도깨비들과 아이의 만남 장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