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에 관한 첫 번째 주석
    카테고리 없음 2013. 9. 28. 00:15


    ▲  영화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의 공식 포스터 ⓒ 나우필름(주), 파인하우스필름(주)


    영화의 가쁜 호흡에 숨죽인 채 영화를 봤다. 두 시간이 넘는 시간이 지루하지 않았다. 영화에 대한 후속 반응은 대체로 여진구에 대한 격찬과 주제에 대한 모호함에 대한 토로 즉 삐걱거리는 내지는 너무 많은 것이 담겨 있다는 비판의 날이 담긴 의견 정도를 들 수 있을 것 같다. 


    전자는 여진구란 배우에 대한 순전한 몫을 의미하는 대신 당연하게도 영화의 무게가 여진구가 맡은 화이란 역에 쏠려 있음을 반증하는 것일 테고, 후자는 이 영화의 구조적 완성도를 논하기 전에 영화가 다루는 주제가 실상 그리 만만치만은 않음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 두 개의 반응 혹 물음은 화이로부터 출발하며 화이로 귀결된다. 


    화이 괴물을 삼킨 아이


    우리는 어떤 죄책감도 없이 악을 저지르는 인간 전형들을, 세기말적 징후를 재현이라도 하듯, 20세기 막바지를 건너오는 한국 영화들에서 과도하게 목격해 왔던 것 같다. 우리는 그야말로 '악마를 보았다', 개뼈다귀로 인간의 살이 발리며 한 덩어리가 되는 무참한 살육 광경이 끊임없이 펼쳐지며 '황해'를 건너듯 아득했던 영화, 적을 무참히 죽임이 극도의 쾌감을 주는 액션으로 승화하는 영화까지 끔찍함은 자극에 무뎌진 우리의 감각을 시험하며 상이한 액션의 쾌감으로 그것들을 수용하며 또한 부정하게끔 만들어 왔던 것 같다. 


    곧 <악마를 보았다>는 단지 그 끔찍함으로 인해 혹평을 받는 편이었다. 그렇다면 이 끔찍함, 참혹함은 현재 우리 사회에서 어떤 알레고리 읽기에 대한 감독의 주문이었을까의 질문은 그 이미지 너머로 사라지는 셈이다. 그 영화들을 통과해 온 화이의 부제 '괴물을 삼킨 아이'는 묘하게도 그런 영화적 괴물의 전례를 집어삼킨 영화의 메타적 알레고리로 자연 읽히는 측면이 있다. 


    영화 화이의 몇몇 장면은 끔찍하다. 죽음은 찰나적이고도 기계적이며 비인간적으로 온다. 거기에 대한 액션은 치밀하며 이는 역시 모종의 쾌감을 준다. 이는 마치 이 영화가 잘 만든 액션물인 것 같은 인상을 준다. 


    영화 전반을 보면 '낮도깨비'로 불리는 희대의 범죄자 집단에 의해 납치된 아이가 그들에 의해 키워져 다섯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로 재정립되고, 원래의 부모의 존재를 마주하고, 자신을 괴물로 키우고자 했던 그들에게 가하는 복수가 영화를 구성한다.


    <화이>는 그 괴물이란 아이가 삼킨 무엇, 곧 처음부터 내 것이 아닌 외부적 존재에 대한 탐구인 동시에 그 괴물이 어디서부터 출현하는가, 나아가 왜 출현할 수밖에 없는가에 대한 탐문의 과정에 있다. 이는 아마도 화이가 '괴물'과 같은 영화들의 계보에서, 그리고 현대 사회에 만연한 폭력에 대한 물음에서, 동시에 인간 본연에 대한 성찰에서라는 세 가지 지점의 맞물림 위에 있다.


     이 점이 바로 이 영화를 보는 것의 애매함이다. 폭력이 나의 바깥에 있는 괴물들의 무엇이라는 점에서 벗어나, 삼킨 이후 곧 그것이 이미, 아니 이전부터 나와 다르지 않은 그 무엇이라는 점을 전제하는 데서 화이는 출발한다. 니체의 '괴물과 싸우는 사람은 그 싸움 속에서 스스로도 괴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는 이 영화가 유비로 삼은 명제는 무섭게도 괴물을 통해 스스로가 가진 괴물을 바라보지 말아야 한다는 (외부의) 괴물보다 더 무서운 주문으로 거듭난다.


     화이의 여진구가 부각되는 것은 그 다섯 명의 아버지들인 원래부터 괴물들이었던 그래서 평이한 인물들을 받고 거기에 그들을 이기며 자신 안의 괴물에 직면하는 존재이기 때문에 가깝다. 곧 여진구는 그 끔찍한 폭력 집단에 항거할 만한 액션을, 또 괴물과 결코 섞일 수 없었던 아이에서 괴물이 되어 가는 스스로를 목격하는 커다란 간극을 오가며 터뜨리는 감정들을 드러내야 하고, 물론 그 몫을 해냈다. 


    이 화이라는 캐릭터는 그 폭력을 극점에 끌어내는 데 초점이 맞춰진 것으로 오인되던 한국 영화의 폭력의 계보에서 폭력이 연원하는 방식을 거꾸로 좇아가고자 한다. 어머니란 이름 대신, 아버지만 득시글대는 화이의 상황, 더군다나 그를 괴물로 만들려는 괴물-아버지들의 존재라는 점에서, 이는 한국 영화의 아버지에 대한 규정의 측면에서 또 다른 질문을 낳는다. <화이>를 보고 난 이후 남는 '모호함'은 그래서 긴 시간을 두고 풀어야 할 문제인 것으로 보인다. 


    김민관 기자 mikwa@naver.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