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연극 <우리동네, 미쓰리> 리뷰 : '미쓰리는 오늘도 신화 속에 살아간다'
    REVIEW/Theater 2012. 3. 26. 16:11

    ▲ 지난 22일 목요일 오후 3시경 열린 <우리동네, 미쓰리> 프레스콜 장면(이하 상동)

    <우리동네, 미쓰리>는 처음 찰리 채플린 영화의 경쾌한 리듬의 행위 양상에 맞아 떨어지는 음악들을 차용해서 바쁘게 움직이는 현대인의 영상을 무대 위의 희극으로 치환한다. 일종의 영화의 한 부분으로서 영화 제목을 나타내는 메인타이틀은 이 영화와 무대를 접합하는, 판타지에서 실재를 잇는 선명한 분할선으로 드러난다.


    현실과 연결됨 잠자리와 일자리로 곧장 연결되는 삶의 분절 리듬의 현실이, 또한 삶의 관습적 감각이 무대에서 체현되는 어느 한 순간 제목 타이틀이 오르는 것이다. 이 영상은 연극 전체를 요약한다.

    그리고 일종의 무성영화를 전유한 영상에 변사 둘이 출현한다. 이 변사들은 관객에게 새롭게 극을 전유하게 하는 기제로 작용하면서 불쑥 극에 출현하여 현실의 흐름을 단절 시킨다. 그들의 내레이션이 영화에서 이어 무대에 더해짐은 무대에 대한 거리두기를 가능하게 하며 미쓰리에 대한 감정 이입을 줄이고 희극의 인물 정체성을 계승하게 된다. 


    미쓰리는 이 거리두기를 통해 오히려 조명되며 복잡다단할 뿐더러 완전히 그녀에게 압력을 행사하는 세계의 외면으로 세계를 분명히 드러낸다.

    그녀는 어둡게 분장되어 있고 풀어헤친 머리로 귀신과 같은 형국이다. 히스테리와도 같은 악다구니는 쇳소리가 조금 섞인 목소리에서 섞여 드러나며 외모와 개성 자체가 언캐니(uncanny)한 측면을 갖고 있는데, 소녀와 귀신 삶과 죽음의 어느 경계에 있는 외모 자체는 이 작품의 특이성(singularity)의 한 발견과도 같다.

    극은 어느 정확히 이십대의 감수성, 적어도 세대적인 것으로서의 미학에 가깝다. 이는 배우들이 주연과 조연으로 특정하게 나뉜다기보다 각자 다양한 역할들을 맡고 하나의 움직임으로 수렴하는 지점을 만듦으로써 어떤 공동체의 만듦 과정 그 자체를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이는 어떤 총보(score)로서 완결된다기보다 '행위하는 연기'가 함께 뒤섞이며 공통의 행위로 확장되어 나갈 때 연극의 내용과는 별개로 이 무대를 완성해 나가는 역할이 아닌 배우로서의 자리가 드러난다.


    이 뒤섞임의 과장됨으로 또는 노력으로 드러나는 부분에서 일종의 관객의 참여에 대한 판단이 일어난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이십대의 젊은 감수성의 함께 뒤섞임의 공통의 연대는 가능과 간극의 지점을 낳는다.


    현재의 온갖 대중문화 속 음악과 움직임들이 이 작품을 가로지르는데 이 현재의 문화는 다시 누군가는 매우 자연스러운 것으로 그래서 즐거운 리듬으로 즐거움을 합의할 수 있는 자리에 위치할 수 있지만 가볍다는 느낌을 줄 수도 있다. 가령 양현석을 흉내 내는 한 코미el 프로그램의 소재가 비슷하게 쓰이고 있는 부분을 웃음으로 또는 진부함으로 내지는 그 코드 자체를 이해하지 못함으로 나갈 수도 있다. 사실 이 부분은 조금 더 하이퍼텍스트적 차용과 여러 코드‧장르들을 전유하는 것으로, 극의 생기 내지 치솟는 리듬으로, 극을 전체적으로 활발하게 만드는 극의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찰리 채플린의 현대적 변용의 측면은 음악의 쓰임과 희극배우로서 자리하는 주인공이지만 이는 산업화 시대의 우울한 초상은 현재에도 유효하다.


    미쓰리를 대신하며 삶을 이탈한다. 여기에 깔리는 볼레로는 다시 처음부터 반복되는 도돌이표로 미쓰리가 아닌 다른 누군가, 또 다른 미쓰리의 삶으로 확장하는 듯한 동시에 현실을 판타지로 변형시키는 장치로 기능한다. 이러한 두 차례의 반복에서 미쓰리는 찾아지지 않는다. 곧 주인공에서 미끄러진다. 판타지의 외부에 있다.


    미쓰리는 수많은 미쓰리의 개별적인 호명에 반응하며 자신이 미쓰리로서 존재를 인정받지 못함에서 좌절한다. 여자와 남자의 로맨스는 그 호명 이후 따르는 것으로 미쓰리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이 갖는 낭만적인 신화에 가깝고, 여기서 미쓰리는 좌절한다. 이는 부르디외가 말한 아비투스를 정확히 상기시키는데, 미쓰리라는 이름에 자신을 확인하고 그 관계의 장에서 미끄러지는 미쓰리는 그 미쓰리라는 직업적 정체성이라는 한 산물에 스스로를 고착화함으로써 자신을 수호하려는(자신을 미쓰리라는 신화적 실재에 고착화하려는) 강력한 의지를 반증하는 것이다.

    실상 무대를 덮어 쓰는 영화와, 무대를 가르는 쇼의 몸짓(가령 뮤지컬)이 갖는 아드레날린의 감각들, 꿈과 일상에서 어느새 꿈속에 있는 인물로 된, 이 모든 것들이 꿈이었던 것처럼 나타나며 이 작품은 내러티브의 정교한 이야기 흐름 대신 대중문화의 전유 측면에서의 하이퍼텍스트적 문맥 삽입으로 인한 장들의 뒤섞음과 전복의 감각적이고 촉각적인 양식으로써 현대인의 비극을 다룬 희극을 만들고 있다. 참여의 몫은 실상 관객석까지를 잠식하는 것을 예사로 하는 배우들로 인해 결코 배제할 수 없는 부분인데, 이 정신 없는 무대 속 소외되고 있는 주인공은 이 외재화의 물결 속에 얻어지는 부재의 자리에 가깝다. 이는 다시 관객을 가리킨다.

    미쓰리라는 이름은 현대인의 한 계급적 정체성이라는 것 한 축의 반대편에는 오히려 이를 부름으로써 곧 자신보다 낮은 계급에 대한 그것도 우월적 남성의 지위 확보의 부분이 있기 때문에 현실을 구성하는 매우 실재적인 신화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겠다. 반면 미쓰리가 하나의 신분을 대리함으로써 자신을 그 속에 투사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범용성을 얻는 무대의 한 장치이기도 하다. 이 이름은 결국 자신보다 낮은 한 계급에게 부르는 것이므로 어렵다보다는 친근하다/친숙하다 따위의 느낌을 함께 불러오는 장치인 것.
     
    그리고 이 미쓰리의 꿈들의 조각난 서사들은 그래서 하나의 주체로의 수렴을 야기하기보다 견고한 듯 보이지만 그저 형성되지 못하는 현대의 표층을 다루는 서사 전략으로 나아가는 듯 보인다. 이는 창작집단 툭.TOOK에게서, 연출 내지 작가에게서,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말이다.

    [공연 개요]
     공 연 명  :  <우리동네, 미쓰리>
     공연기간  :  2012년 3월 22일(목) ~ 4월 1일(일)
     공연장소  :  가톨릭청년회관 ‘다리’ CY씨어터 (홍대입구역 2번 출구에서 50m)
     공연시간  :  평일 8시 l 토 4시, 7시 l 일 4시 (화요일 쉼)
     티켓가격  :  일반 25,000원 l 초,중,고,대학생 15,000원 l 단체할인 12,000원
     관람등급  :  만 12세 이상 관람가
     러닝타임  :  약 80분
     글 쓰 기  :  전성현        
     연    출  :  김수정
     출    연  :  강지연, 김문호, 김승해, 김정수, 구선화, 권가용, 박찬, 이문하, 이운호, 임철수, 윤정아, 전지욱, 정지인, 지수호, 하재성, 현슬기
     공연문의  :  가톨릭청년회관 ‘다리’ 070-8668-5796
     제    작  :  창작집단 툭.TOOK
     공동기획 및 후원  :  가톨릭청년회관 ‘다리’
     후    원  :  한국예술종합학교 공연전시지원센터, 서울시 노원구 댄스스포츠 연합회, 레일파츠
     예    매  :  인터파크               1544-1555       ticket.interpark.com
                      미소나눔티켓(옥션티켓)  1566-1369       ticket.auction.co.kr
     공연정보  :  페이스북 : facebook.com/grouptook
                      싸이클럽 : club.cyworld.com/ghost111            

    김민관 기자 mikwa@naver.com

     

     

     

    728x90
    반응형

    댓글